반응형

🧠 수능 영어 빈칸 추론 문제 완전 정복 (2021 + 2025)

빈칸 추론 대표 이미지

① 2021 수능 영어 31번

빈칸 추론 문제 <빈칸 추론 문제 푸는 방법> ⇒ 빈칸 부분을 먼저 읽고, 무엇을 물어보는지 파악할 것. 문제 풀이 (예시) However, these days, many rich people who live alone . 이렇게 문장이 나와 있으면, 아, 혼자 사는 부유한 사람들의 특징을 찾으라는 거구나, 이렇게 파악하고 다른 문장에서 <rich, alone> 이런 단어가 들어있는 문장을 찾아야 합니다. 그 문장의 내용과 저 빈칸 문장의 내용을 똑같이 만들어 주는 선택지를 고르면 됩니다. However이 있으니까, 과거와 요즘이 <대조>네. 다른 문장에 Past (과거에는~) 어쩌고 저쩌고 나와 있으면 그 Past 문장의 내용과 반대되는 내용이 답입니다. <선택지 분석하는 법> 선택지 다섯 개 중에서 지문 내용과 아예 상관없는 게 있을 겁니다. 소거하시면 됩니다. 두 개 중에서 뭐가 정답인지 모르겠다, 그럴 때는 그나마 내용이 근접한 걸 고르면 됩니다. 2021 수능 영어 문제를 가져와서 <빈칸 추론 문제>를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지 상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2021학년도 수능 문제> [31]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In the classic model of the Sumerian economy, the temple functioned as an administrative authority governing commodity production, collection, and redistribution. The discovery of administrative tablets from the temple complexes at Uruk suggests that token use and consequently writing evolved as a tool of centralized economic governance. Given the lack of archaeological evidence from Uruk-period domestic sites, it is not clear whether individuals also used the system for . For that matter, it is not clear how widespread literacy was at its beginnings. The use of identifiable symbols and pictograms on the early tablets is consistent with administrators needing a lexicon that was mutually intelligible by literate and nonliterate parties. As cuneiform script became more abstract, literacy must have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to ensure one understood what he or she had agreed to. * archaeological: 고고학적인 ** lexicon: 어휘 목록 *** cuneiform script: 쐐기 문자 ① religious events ② personal agreements ③ communal responsibilities ④ historical records ⑤ power shifts <문제 풀이> 주어진 문장을 읽고, 무엇을 요구하는지 파악해 보겠습니다. Given the lack of archaeological evidence/from Uruk-period domestic sites, it is not clear whether individuals also used the system for . 고고학적 증거의 부족을 고려하면/Uruk 시긴에 가정집 터에서 나온 /그것은 명확하지 않다 / 개인들이 또한 그 체계를 사용했는지 /~를 위해. 빈칸 문장을 읽어보니 빈칸 문장이 알아내라고 요구하는 것은 <시스템을 사용한 이유>입니다. 다른 문장에서 <시스템, 사용, 이유> 이런 말이 있는지 찾아보겠습니다. <시스템, 사용, 이유> 이런 말이 어디 있나, 스캔해보는데 빈칸 뒷부분에 <it is not clear>이라는 말이 있네요. 빈칸 문장에 나오는 <it is not clear>가 그대로 있네요. 이럴 때 저는 땡큐!! 라고 외칩니다. 두 문장의 의미는 똑같기 때문입니다. For that matter, it is not clear how widespread literacy was at its beginnings. 그 문제와 관련해서, 그것은 명확하지 않다 /얼마나 널리 퍼져있었는지 읽고 쓰는 능력이 /그것의 초기에. 아~ 그 시스템이 아마도 “읽고 쓰는 것”과 관련된 시스템인 것 같네요. 선택지를 훑어보니 아직까진 답을 모르겠습니다. The use of identifiable symbols and pictograms on the early tablets is consistent with administrators needing a lexicon that was mutually intelligible by literate and nonliterate parties. 문장이 기네요. <The use (생략) is consistent /with administrators needing a lexicon> 이 부분만 해석해보겠습니다. 그 (시스템의) 사용은 일치한다 / 행정가들이 어휘 목록이 필요했던 것과. 문제 풀다가 <무슨 말인지 모르겠다 싶은 부분>은 과감하게 버리세요. 버리시고, 다른 문장을 읽으세요. 그게 시험 시간을 아끼는 방법입니다. 한 문제 때문에 시험을 망칠 수는 없잖아요. 일단, <읽고 쓰는 시스템>이라는 건 파악했습니다. 글 마지막에 literacy가 있네요? 저는 또 외칩니다. 땡큐!! literacy must have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to ensure one understood what he or she had agreed to. 읽고 쓰는 능력이 점차 중요해졌음이 틀림없다 / 한 사람이 이해한다는 것을 확실히 하기 위해 / 자신이 동의했던 것을 아~ 읽고 쓰는 시스템의 목적 = 자신의 동의를 확실히 하기 위해. 선택지를 보겠습니다. ① religious events ② personal agreements ③ communal responsibilities ④ historical records ⑤ power shifts personal = he or she agreements = agreed 정답은 2번입니다.

② 2025 수능 영어 34번

Centralized, formal rules can ____________________. The rules of baseball don’t just regulate the behavior of the players; they determine the behavior that constitutes playing the game. Rules do not prevent people from playing baseball; they create the very practice that allows people to play baseball. A score of music imposes rules, but it also creates a pattern of conduct that enables people to produce music. Legal rules that enable the formation of corporations, that enable the use of wills and trusts, that create negotiable instruments, and that establish the practice of contracting all make practices that create new opportunities for individuals. And we have legal rules that establish roles individuals play within the legal system, such as judges, trustees, partners, and guardians. True, the legal rules that establish these roles constrain the behavior of individuals who occupy them, but rules also create the roles themselves. Without them an individual would not have the opportunity to occupy the role. * constrain: 속박하다 ① categorize one’s patterns of conduct in legal and productive ways ② lead people to reevaluate their roles and practices in a society ③ encourage new ways of thinking which promote creative ideas ④ reinforce one’s behavior within legal and established contexts ⑤ facilitate productive activity by establishing roles and practices <문제 풀이 (Nick쌤 스타일)> 첫 문장 빈칸: “규칙이 무엇을 할 수 있는가”를 묻는다. 바로 이어지는 예시가 핵심 단서다. - 야구 규칙: 선수 행동을 ‘규정’할 뿐 아니라, ‘게임 자체’를 만들어 사람들이 야구를 할 수 있게 한다. - 악보: 규칙을 ‘부과’하지만, 동시에 연주를 가능하게 하는 행동 패턴을 만든다. - 법 규칙: 회사 설립·유언·신탁·어음·계약 관행 등을 가능하게 하여 새로운 기회를 만든다. - 더 나아가 법은 판사·수탁인·동업자·후견인 같은 ‘역할(roles)’만들어 준다. 마지막 문장 확인: 규칙이 역할의 행동을 제한(constrain)하기도 하지만, 그보다 중요한 건 “역할 자체를 창출”한다는 점. 규칙이 없으면 애초에 그 역할을 점유할 기회(opportunity)가 없다. 결론: 규칙은 ‘제한’이 아니라 ‘생산적 활동을 가능하게 하는 틀’을 만든다. ✅ 정답: ⑤ facilitate productive activity by establishing roles and practices

③ 공부·자료 더 보기

④ 사이트 바로가기

반응형

+ Recent posts

☕ 머니소영 카페 🔥 세일나우 🎯 라운드 ⭐ 하이오더